구글 검색창에 '바보'를 입력하면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왼쪽) 사진이 나오는 것을 두고 미 하원 청문회에서 논란이 일었다. [AP=연합뉴스, 구글 검색창 캡처]
11일(현지시간) 미 하원 청문회에서 때아닌 '바보' 논란이 일었다. 구글 검색창에 '이디엇'(idiot·바보)을 입력하면 대부분 트럼프 사진이 나오는 것을 두고 민주당과 공화당 의원이 신경전을 벌인 것이다.
논란은 구글이 '반(反)트럼프ㆍ반(反)보수 편향'으로 검색 결과를 조작한다는 의혹에서 시작됐다. 이날 미 하원은 순다르 피차이 구글 최고경영자(CEO)를 대상으로 청문회를 진행했다.
미 일간 워싱턴포스트WP)에 따르면 이날 포문은 조 로프그런(캘리포니아) 민주당 의원이 열었다. 로프그런 의원은 구글이 검색 결과를 조작한다는 공화당 측 주장에 반박하기 위해 직접 검색 시범을 보였다. 그가 선택한 단어는 '바보'였다. 실제로 로프그런 의원이 구글 검색창에 '바보'라고 입력하자 결과창에 트럼프 대통령 사진이 가득 채워졌다.
이를 본 로프그런 의원은 피차이 구글 CEO에게 "어떻게 검색 작업이 작동합니까?"라고 물었다. 피차이 구글 CEO는 "관련성ㆍ인기 그리고 다른 사람이 검색어를 이용하는 방법 등과 같은 200여개 인자들을 검색 알고리즘이 작동해 이런 결과를 만들어 낸다"고 설명했다. 이에 로프그런 의원은 "구글 검색 결과는 어떤 조그만 사람이 커튼 뒤에 앉아 사용자에게 무엇을 보여줄지 생각하는 게 아니다"라며 "근본적으로 사용자들이 생산해내는 것들의 조합"이라고 정리했다. 구글이 정치적인 이유로 검색 결과를 조작하는 것이 아니라는 주장이다.
그러자 공화당 의원이 반박했다. 라마 스미스(텍사스)의원은 피차이 CEO를 향해 "직원에게 검색 결과 조작을 지시한 적 있느냐"고 직설적으로 물었다. 이에 피차이 CEO는 "검색 처리 과정에 너무 많은 단계가 있기 때문에 한 사람 또는 심지어 여러 사람이라 하더라도 조작은 불가능하다"고 답했다.
그러나 스미스 의원은 "동의하지 않는다. 사람이 그 과정을 조작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 기본적으로 인간이 하는 과정"이라고 반박했다. 스미스 의원의 주장에 공화당 의원들이 가세했다. 공화당 측은 공화당이 내세운 몇몇 법안을 구글에서 검색하면 첫 페이지 등에 부정적 기사들이 우선적으로 올라온다고 불만을 터트렸다. 그러면서 "보수적 관점이나 보수적 정책에 반대하는 구글의 이런 분명한 편향(bias)을 어떻게 설명할 것인가. 그것은 단지 알고리즘인가, 아니면 더 많은 일이 일어나고 있는 것인가"라고 따졌다.
순다르 피차이 구글 CEO [AP=연합뉴스]
그러나 공화당 의원은 "내가 여기에서 말하고 있는 것이 일어나고 있다고 믿는 사람들이 많다"면서 피차이 CEO의 말을 믿지 않았다.
이민정 기자 lee.minjung2@joongang.co.kr